치과기공학 이론/교합면 해부학5 교합면 해부학 5장 - 하악골의 위치와 운동 제5장 하악골의 위치와 운동 1. 하악의 기본위 1)중심교합 상하악 치아가 만나서 최대의 면적으로 접촉 있는 교합상태 2)중심위 과두가 관절결절에 대해 최상방에 위치해 있을 때의 관계 즉, condyle이 fossa에서 최상방에 있다는 뜻 3)중심위교합(CRO) 과두가 중심위 일 때 치아는 어떤 상태로 있는가? 즉, 과두가 관절결절에 대해 최상방 위치에 있을 때 모든치아들이 최대의 면적으로 닿고잇는 상태 치과계에선 가장 이상적인 교합 4)안정위 똑바로 앉아서 입을 다문 채 중심교합을 한다. 그리고 서서히 저작근의 힘을 뺀다. 그러면 치아와 치아 사이에 free way space가 형성된다. 이렇게 편안한 자세, 이때 과두의 위치가 안정위 이다. 5)Point centric과 Long centric.. 2020. 9. 29. 교합면 해부학 4장 - 치아의 배열과 교합 1. 치아의 위치를 결정하는 요인 1) 중립대 2) 치아의 축위치 1)중립대 중립대란 이 공간 내에 외측으로 작용하는 혀의 힘과 내측으로 작용하는 볼과 입술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공간이다. 2) 치아의 축위치 하악치아는 모두 근심측으로 경사져있고, 상악치아는 구치에서 전치로 갈수록 근심측으로 경사가 심해진다. 상악의 모든 구치들은 약간 협측으로 경사져있고, 사악 모든구치는은 약간 설측으로 경사져 잇다. 2. 피개교합 1)수평피개 2)수직피개 1)수평피개 수평피개란 상악치아와 하악치아간의 수평적으로 이개가 되어 있는 공간을 말한다. 대체적으로 수평피개는 구치로 갈수록 피개량은 작아진다. 2)수직피개 수직피개는 상하악이 수직적으로 얼마나 피개를 하고잇는지의 양을 나타내는 공간을 말한다. 대체적으로 근심에서 .. 2020. 9. 29. 교합면 해부학 3장 - 치아의 생리적기능과 형태 교합면 해부학 3장 - 치아의 생리적기능과 형태 1. 치경만곡 1) 순·협면 치경만곡 -적절한 치경만곡은 저작시 음식물이 협·설측으로 밀려날 때 특유의 장력으로 치은의 손상을 막아주며 치은을 자연적으로 마사지하여 치은조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2) 인접면간극 (inter proximal space) -인접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삼각형의 공간으로 구강 내에서 보면 유리치은의 일부인 치간유두가 인접면 간극을 채우고 있어 눈에 잘 띄지 않는다. 3) Embrasure (1) 순(협)면, 설면 embrasure (2) 절단(교합), 치은 embrasure * Embrasure의 기능 - 저작시 음식물이 빠져나오는 배출로 역할 - 저작하는 동안 치아에 가해지는 교합압을 줄여준다. - 저작시 접촉부위에 음식물이 .. 2020. 9. 29. 교합면 해부학 2장 - TMJ의 구성과 기능적 상호작용 교합면 해부학 2장 - TMJ의 구성과 기능적 상호작용 강의영상 교합면 해부학 2장 - TMJ의 구성과 기능적 상호작용 1. 측두하악관절 TMJ 1) 측두하악관절의 구조 (1) Mandibular condyle (하악두, 과두) -하악골의 하악지에 있는 2개의 돌기중 후방에 있는 관절돌기 상단의 타원형 부위. -Mandibular condyle은 볼록한 모양으로 후방으로 가면서약간 평편하고 하악와 내에서 움직이는 부위 -하악 운동시 주로 관여하는 면은 전상면. condylar의 근원심 폭은 15~20mm 전후방 폭은 8~10mm (2)Mandibular fossa(하악와) -측두골에 고정되어 있는 오목한 부위 -condylar의 모양과 유사한 타원형이나 직사각형으로 사람마다 모양이 다르다. -하악와의 전.. 2020. 9. 2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