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과기공학 이론/교합면 해부학

교합면 해부학 5장 - 하악골의 위치와 운동

by 이상진소장 2020. 9. 29.
728x90
반응형

 

 

 

 

 

 

5장 하악골의 위치와 운동

 

1. 하악의 기본위

 

1)중심교합

 

상하악 치아가 만나서 최대의 면적으로 접촉 있는 교합상태

 

2)중심위

 

과두가 관절결절에 대해 최상방에 위치해 있을 때의 관계

, condyle fossa에서 최상방에 있다는 뜻

 

3)중심위교합(CRO)

과두가 중심위 일 때 치아는 어떤 상태로 있는가?

, 과두가 관절결절에 대해 최상방 위치에 있을 때 모든치아들이 최대의 면적으로 닿고잇는 상태

치과계에선 가장 이상적인 교합

 

4)안정위

 

똑바로 앉아서 입을 다문 채 중심교합을 한다.

그리고 서서히 저작근의 힘을 뺀다.

그러면 치아와 치아 사이에 free way space가 형성된다.

이렇게 편안한 자세, 이때 과두의 위치가 안정위 이다.

 

 

 

 

5)Point centric Long centric

 

중심교합과 중심위가 일치하고 3점 접촉하는 안정된 상태

 

 

 

폐구운동시 조기접촉 부위가 있으면 중심교합을 하기위해

턱에 힘을 가한다. 이때 TMJ에서는 과두가 무리하게 전방

으로 움직이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기접촉 부위를 0.5mm정도 삭제 해준다.

 

하악운동

1) 하악운동이 일어나는 평면

 

(1) Horizontal plane (수평면)

 

·두부를 상,하로 나누는 면

·치아나 인체의 장축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

 

(2) Sagittal plane (시상면)

·두부를 좌,우로 나누는 면

·인체를 좌,우로 나누는 평면

 

 

(3) Frontal plane (전두면)

 

·두부를 전,후로 나누는 면

·인체를 전,후로 나누는 평면

 

 

(4) Occlusal plane (교합평)

 

☆ Frankfort. H. 평면

 

·external acoustic pore 최상부와 orbital의 최하연을 연결한 평면

·두개골의 Horizontal plane 과 가장 일치하는 평면

·하악의 위치나 운동 측정시 기준이 되는 면

·,하대 사이의 거리가 넓은 교합기에 모형부착 할 때 가상교합평면 마운팅시 응용

 

 

★Camper 평면

 

 

·External acoustic pore 의 상연과 ala nasi의 하연을 연결한 평면

·총의치 제작시 교합제를 구강내에 try in하여 sagittal plane에서 posterior wax rim 관찰시 활용

 

 

Pupil of eyeline

 

·양측 pupil을 연결한 평면

·wax rim try in  anterior occlusial plane을 관찰할 때 활용

 

 

2) 하악운동의 회전축과 기본형태

 

(교과서에 쓰여진 내용일 뿐 실제 우리 몸, 하악 과두는 이렇게 움직이지 않습니다.)

(과두는 우리가 입을 벌릴때 전방운동을 하지, 고정되어 회전하지않습니다. 교합기만 그렇게 움직일 뿐입니다.

현재 교과서는 틀린내용입니다.)

 

(1) horizontal axis (수평축)  Opening & Closing Movement

 

·opening&closing movement 시 사용되는 가상축으로 sagittal plane에서 볼 수 있다.

·하악의 작은 opening&closing movement는 순수한 rotational movement 이다.

·mandibular head mandibular fossa 내에서 rotational movement할 때 좌·우측 과두를 수평으로 연결한 하악의 개폐축으로 좌· 1개이다.

 

 

 

Rotational movement?

과두가 과두의 상부면과 articular disk의 사이에서

과두의 위치는 변함없이 축 주위를 돌면서 움직이는 운동

 

opening&closing movement?

하악골이  하방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전상방으로 이동하는것.

TMJ에서는 condyle이 회전하면서 전 하방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후상방으로 이동하고 회전하면서 끝나는 운동이

·우 대칭적으로 일어나는것.

이때 절치점이 움직인 거리는 약 2~3cm angle 10~30˚정도 된다.

 

 

 

 

 

(2) vertical axis (수직축)

(교과서에 쓰여진 내용일 뿐 실제 우리 몸, 하악 과두는 이렇게 움직이지 않습니다.)

(과두는 우리가 턱을 왼쪽으로 보낼때 왼쪽의 과두는 후하방운동을 하고, 오른쪽의 과두는 전내하방 운동을 합니다. 절대 작업측의 과두가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습니다. 교합기가 그렇게 움직일 뿐입니다. 현재 교과서는 틀린내용입니다.)

 

··우 각각의 mandibular head를 수직으로 통과하는 가상축으로 horizontal plane에서관찰 할 수 있다.

··우에 각각 한개씩 있으며 측방운동 작업측 과두가 이 축을 중심으로 움직인다.

   

3) 하악의 기능운동

 

Protrusive & Retrusive movement (·후방운동)

 

·전방운동은 하악치아가 중심위에서 중심 교합 상태로 움직인 후 계속해서 전하방으로 움직여 하악 전치 절단이 상악 전치부 설측을 따라 활주하여 절단교합 상태가 된 후 계속 전상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말하고, 후방 운동은 반대로 이동되는 운동이다.

 

Translational movement, Sliding  movement (활주운동)?

·관절원판 상부와 관절와 하부면 사이에서 축을 중심으로 Articular tubercle의 후방 경사면으로 미끄러지는 운동으로 과두가 어느 축을 따라 동일한 방향, 속도, 양 만큼 이동 되어지는 것

 

개구시 하악골의 활주운동

 

전방운동시 하악골의 활주운동

4) 하악의 한계 운동

 

(1) 시상면에서 본 한계 운동 (Posselt banana)

 

··후방운동

전방운동은 중심위 상태에서 중심교합으로 전상방으로 1.25(±1)mm정도 움직이고(CR-CO) 다시 하악 절치 절단이 상악 전치 설면을 따라 전하방으로 움직인다(CO-a). 다시 그 상태에서 전방으로 움직이는데 이 때에는 상·하악 절치 절단이 서로 교차하는 상태가 된다(a-b).  절단의 교차가 끝나면서 하악 전치는 전상방으로 움직이며 구치부는 접촉하게 된다(b-c).

 

최대 전방 운동은 구치나 인대에 의해 제한을 받는데 중심위에서 최대 전방까지 운동은 평균 8~11mm 정도가 된다.

 

 

 

 

·개폐운동 (Terminal hinge movement, Pure opening movement)

 

하악이 opening & closing movement 중심위 상태에서 순수 최대 개구까지의 운동을 말한다.

이때 순수회전 운동 범위인 상·하악 절치 절단간 거리를 측정하면 20~30mm(1inch) 정도가 된다.

중심위 상태에서 순수 최대 개구를 지나 최대 개구 운동까지의 운동을 Posterior opening border movement 라 하며

회전과 활주의 합성 운동으로 이때 상·하 절치 절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면 50~60mm 정도이다(CO-f)

중심교합에서 안정위(R, CO 20~30mm 하방)를 지나 Maximum opening까지의 운동을 Habitual opening movement

하며 하품할때 하악의 움직임이다.

 

(2) 수평면에서 본 한계 운동

 

 

·수평선에서 절치점의 움직임은 4가지 방향의 측방 운동이 마름모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 마름모의 측방 각도는 예각이고, 전후방 각도는 둔각이된다.

이 한계운동은 하악의 개구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최대 개구시에는 거의 측방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3) 전두면에서 본 한계 운동

 

 

 좌외측 상방 한계운동

 

하악이 중심교합 상태에서 좌측으로 측방운동 하면 절치점에 의해 하방으로 오목한 경로가 나타난다.

 

 좌외측 개구 한계운동

 

하악이 최대 좌외측 상방 위치에서 개구운동하면 외측으로 볼록한 경로가 나타나며, 내측으로 운동하다 정중선과 일치된다.

 

 우외측 상방 한계운동

 

하악이 중심교합 상태에서 우측 측방 운동을 하면 , 하방으로 오목한 경로가 나타난다.

 

 우외측 개구 한계운동

 

하악이 최대 우외측 상방 위치에서 개구운동을 하면, 좌측과 유사한 경로가 생겨서 정중선에서 끝나게 된다.

 

 

 

 

 

하악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후방요인

 

 

 

2) 전방요인

 

 

주로 전치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후방요인과는 달리 자연적인 마모, 보철물, 선택 삭제, 교정, 발치, 치아 우식, 습관 등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전치는 전방이나 측방운동시 하악을 유도하고, 구치 폐구시 vertical stopper역할을 한다.

 

구치는 최대 교합위의 위치로 하악을 유도하게 되는데 이 위치는 과두가 관절와 내의 최적위치일 수도 있고, 아닐 수 도 있다.

 

 

3) 신경근육요인

 

 

Neuro Muscular는 치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저작,발음,연하와 같은 생리적활동에서

 

비롯되는 의식적 반응일 수도 있고 Bruxism(이갈이)과 같은 무의식적 반응일 수도 있다.

 

신경과 근육 자체는 임의로 변경할 수 없으나 악관절과 조화되도록 치아를 위치시켜 간접적으로 조절 할 수는 있다.

 

 

절치유도와 과로

1) Incisal guidance, Anterior guidanc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Lateral movement 할 때, mandibular anterior incisal Maxilla Anterior  lingual contact 하면서 Lingual concavity 의 형태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하악 전치가 서로 접촉되면서 이동함에 따라 하악이 움직이게 되므로 Incisal guidance는 하악 운동의 전방 결정요소가 된다.

 

 

인체에서 Maxilla는 고정되어 있고 Mandibular가 움직이므로 하악 양중절치 절단의 절치점이 움직인 길과도 같으므로Incisal path라고도 한다.

 

 

절치 유도의 활주로는 상악전치와 하악전치사이의 수직피개  수평피개의 , 상악 전치부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정상적인 전치부 악간 관계에서는 3~5mm의 수직피개가 있다.

 

 

 

Protrusive incisal guidance angle

[B] 일반적으로 40~80˚범위 이며 평균 60 ˚이다.



 

 

Lateral incisal guidance angle

 

Frontal plane에서 보았을 때, Lateral movement시 생긴 incisal guidance horizontal plane이루는 angle을 말한다.

이 각의 범위는 100~140˚이며 평균120˚이다.

 

 

2) Condylar path

 

Condylar path ?

TMJ  condyle Mandibual fossa에서 이동한 길.

 

 

Sagittal condylar angle ?

 

시상면에서 보았을때 과로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

 

Sagittal condylar angle에는 protrusive movement시 생긴 condylar path horizontal plane

과 이루는 각 인 sagittal protrusive condylar angle Lateral movement  balancing side condylar path 의 움직임과 horizontal plane이 이루는 간인 sagittal lateral condylar angle이 있다.

 

이때 두 과로를 비교하면 sagittal -protrusive condylar path sagittal -lateral condylar path 보다 짧고 완만한경사를 보이는데 이것은 MandibularFossa Medial wall articular -Tubercle 보다 경사가 심하기 때문이다.

 

대개 sagittal lateral condylar angle sagittal protrusive condylar angle보다

5˚정도 큰데 이것을 Fisher’s angle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사람의 통계와 운동론을 연구한 결과,절치로각은 과로각과 같거나 과로각보다 +25˚이내의 급경사를 이루는 것이 심시먹 조건과 발음기능을 고려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구치부 보철물 제작시 시상교두경사각 형성시엔 절치로각과 과로각의 평균치보다

적게 해주어야 편측성 균형교합의 요건인전방운동시 발생하는 구치이개를 얻을 수 있다.

 

 

 

 

Lateral condylar angle ?

 

Horizontal plane 에서 Lateral movement balancing condylar path sagittal plane과 이루는 각을 말하며, 이를 Bennett angle 이라고도 한다.

 

 

nonworking condyle?

 

하악이 움직인 반대편에 있는 과두,balancing condyle 또는 orbiting condyle 이라한다.

 

 

Mandibular fossa에서 처음에는 정중방향(Immediate Side Shift,ISS) 으로 약간 0~3mm 

움직이다가 전내하방(Progressive Side Shift, PSS) 5~7.5˚ 이동한다.

 

 

 


 

 

Mandibular movement는 전방에 있는 상,하악 치아의 접촉활주와 후방에 있는 좌우 악관절의 움직임에 의해 유도된다.

 

전방요인을 anterior guidance (incisal- guidan- ce)라 하고 후방요인을 Poterior guidance (con-dylar guidence)라 한다.

 

 

이 두 요인은 교합면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데

 

2대구치가  50%씩 영향을 받게되고, 그 전방에 위치한 치아들은 전방요인의 영향을 더 받게 되므로 후방요인보다 중요하다. , 과두에서 멀 수록 과두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악관절은 해부학적으로 불변한 것으로 과두유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것에 비해서 전방유도는 전치의 피개상태를 보철물의 처치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서 좋으나 기공사의 지식과 판단에 의해 적절한 유도를 만들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과두유도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728x90
반응형

댓글